[부동산, 분양 용어]초피 얼마에요? 전매 가능한가요?
'모하에 지금 가면 구경 가능한가요?'
'여기 당첨되면 초피는 얼마나 발생될까요?'
'전매 제한은 없나요?'
직업이 공인중개사나 부동산관련 일을 하시지 않는다면,
처음 듣는 단어로 헷갈리기 쉽습니다.
이제는, 신문기사에서도 부동산과 청약시장의 줄임말이 등장 할 정도로
많은 사람들이 접하게 되었는데요.
이번 포스팅에서는 알면 도움되는 용어들로 간단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^^
▷ 물피(물딱지) : 분양시장에서 특별공급 발표 후, 동호수가 안 나온 상태에서 거래하는 분양권을 말합니다.
▷ 초피 : 당첨자 발표 후 계약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붙는 웃돈
'초피'는 요즘 생활형숙박시설(생숙) 대상의 청약시장에서 많이 언급되는 단어입니다.
당첨만 되면, 많은 수요로 인해 '초기 프리미엄(Premium)'이 발생되는 것이죠.
▷ 입주피 : 입주와 소유권 이전 등기를 앞둔 시점의 분양권에 붙은 웃돈
▷ 마피 : 마이너스 프리미엄
▷ 줍줍 : 미계약, 미분양 무순위 분양권을 사는 것
▷ 모하 : 모델하우스, 견본주택의 줄임말입니다.
▷ 다운계약 : 실제 가격보다 낮게 실거래를 신고
▷ 업계약 : 실제보다 높게 실거래를 신고
▷ RR(알알) : 로얄동, 로얄층으로 단지 내에서 위치나 조망이 좋은 곳으로 대부분 고층
▷ 특공 : 특별공급
▷ 일분(가) : 일반분양(가)
▷ 대팔대사 : 대충 팔고 대충 사
▷ 선당후곰 : 선당첨 후고민 (당첨부터 되자!!)
▷ 청무피사 : 청약은 무슨, 피 주고 사!
▷ 청포족 : 청약은 포기한 사람들
[민간임대주택 정보]
[부동산] 민간임대주택 이란? 장점 분석
부동산, 집값 및 전세, 월세가 떨어질 줄 모르고 계속 치솟고 있습니다. 그리고, 대출 규제 및 제한 등으로 주거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그래서, 여러 부동산 상품 중에 가격 부담은 낮추
daedong2.tistory.com
[생활숙박시설 정보]
생활형숙박시설이란? 생숙? 오피스텔? 아파트?
생활형숙박시설이란? 생활형숙박시설이란? 부동산 투자를 하시면서, '생활형숙박시설' 이라는 말을 한번 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. 그런데, 정확히 아파트와 오피스텔, 생활숙박시설을 정확하게
daedong2.tistory.com